베타(Betta)란?

베타는 아름다운 색상과 톡특한 성격으로 인기가 많은 관상어 중 하나로, 유통되는 베타는 야생베타와 개량베타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개량베타의 대표 원종은 태국의 베타 스플렌덴스(Betta Splendens)로 투어용으로 사육이 시작되어 이후 관상용으로 개량되었습니다. 야생종은 개량종에 비해 체색이 어둡고 지느러미의 크기가 작은 편으로 국내에서 주로 사육되는 베타는 색상과 지느러미가 화려하게 개량된 개량베타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베타를 좋아하는 분들에게 이유를 물으면 크게 두 가지 대답을 들을 수 있습니다. 하나는 베타의 화려한 아름다움, 다른 하나는 비교적 작은 수조에서 산소발생기 없이 사육이 가능한 심플한 세팅일 것입니다. 실제로 베타 전시장에 가보면 개체 사이즈에 비해 좁게 보이는 수조에 한 마리씩 단독 사육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보통의 다른 열대어와의 사육환경과는 뚜렷한 차이가 있는데 이는 베타의 특별한 신체구조와 성격에 이유가 있습니다.

빨간색과 파란색이 혼합된 베타

서식지 태국, 베트남, 라오스 등 동남아시아의 연못, 수로 등지
크기 5-7cm
수명 2-4년
색상 빨강, 파랑, 흰색, 노랑, 핑크색까지 개량종의 등장으로 형태와 색상이 다양함
형태 지느러미의 모양에 따라 하프문, 플라캇 등의 타입 존재
성격 공격적인 성격, 특히 수컷사이는 매우 공격적

 

베타의 라비린스(Labyrinth)

 

산소기가 없는 작은 수조에서도 베타의 사육이 가능한 이유는 라비린스(Labyrinth)라는 베타의 특수한 호흡기관 덕분입니다. 라비린스는 아가미 위에 위치한 기관으로 '미로'라는 뜻을 가지는데 가느다란 뼈와 혈관으로 구성된 형태가 마치 미로의 좁은 통로와 방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 이 기관 덕분에 베타는 아가미로 하는 수중호흡 외에도 직접 수면 위로 올라와 공기 중의 산소를 호흡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라비린스 기관과 아가미 위치 그림

 

베타의 이러한 특이한 호흡구조의 이유는 원종 베타의 서식지를 보면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수온이 높고 수류가 거의 없는 습지가 주서식지인 야생 베타는 용존산소량이 적은 수질환경에서 산소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진화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호흡기관을 가지는 열대어는 베타 외에도 구라미가 있습니다.

 

투어 출신 베타

베타는 거의 대부분 단독 사육됩니다. 베타 전시장이나 수족관에서도 2마리 이상의 베타가 한 수조에 있는 것을 본 적이 없을 정도입니다. 인간의 입장에서는 베타가 외로워 보일 수 있지만 이렇게 독립 사육되는 이유는 베타의 유별난 성격 때문입니다. 개량 베타의 원종은 태국의 '베타 스플렌덴스'로 투견이나 투우처럼 투어용의 목적으로 개량되기 시작했습니다. 원종 자체가 자기 영역 의식이 강하고, 동족이라도 외부 개체 유입 시 쫓아버리는 습성이 강해 투어용으로 눈에 띈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특히, 지느러미가 크고 아름다워 주로 사육되는 수컷의 경우 이런 공격성이 더욱 강해 단독 사육이 필수입니다.

 

사육조건

수조환경

다른 열대어에 비해 작은 수조에서 사육이 가능하지만 지나치게 작은 수조는 수질유지가 어려워 사육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최소 3L의 수량을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헤엄치기보다는 머물러 있기를 즐기고, 수류가 강한 것은 선호하지 않으므로 정적인 환경을 만들어 줍니다. 

수온

24-28도. 일반적인 열대어에 비해 약간 높은 온도를 선호합니다.

PH

6.5-7.5. 약산성-중성 정도의 수질을 선호합니다.

먹이

냉동먹이나 생먹이, 베타전용사료. 베타의 원종은 대부분 육식성 어류로 동물성 단백질이 주식입니다. 베타전용사료는 일반적인 열대어사료보다 단백질 함량이 높고 베타의 소화구조에 맞게 설계되어 있으므로 전용사료를 추천합니다. 베타는 다른 열대어에 비해 먹이를 삼키는 구조가 작고 위장구조가 발달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과식을 하는 것은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질병

걸리기 쉬운 질병으로는 부레병, 오디니움, 콜룸나리스 등이 있습니다. 

부레병 정상적인 유영이 불가능해 기울어지거나 뒤집힘, 먹이활동이 어려움
과식하지 않도록 먹이급여량을 조절
오디니움 지느러미를 접거나 구조물에 몸을 비비는 행동, 몸 표면에 미세한 가루가 붙어 보임
수온이 낮아지거나 수질이 급변하지 않도록 예방
콜룸나리스 지느러미가 점점 짧아지거나 끝이 변색됨
상처난 지느러미에 감염되기 쉬우므로 다른 개체와의 합사시 유의

 

번식

베타는 번식형태도 상당히 독특합니다. 단독 사육을 하다가 암컷이 배가 불러 산란의 준비가 되면 암, 수를 합사 합니다. 간혹 서로 짝이 맞지 않는 경우 싸우거나 공격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합사 후에는 반응을 유심하게 살필 필요가 있습니다. 조용한 환경을 좋아하며 부상형 수초를 준비해 두면 유리합니다. 수컷의 구애가 이뤄지고 산란과 수정이 마무리되면 산란항에서 암컷은 따로 분리해 줍니다.

 

암컷이 알을 남기고 떠나면 수컷이 도맡아 알이나 치어를 돌봅니다. 베타의 종류에 따라 수컷은 알을 입으로 만든 거품집에 넣거나, 입에 넣어 보호하는데 부화 후에도 치어를 며칠간 돌보다 떠납니다.

 

보통 알은 1-2일 이후 부화하며 초기에는 미세 분말로 된 먹이를 공급하다가 3-5일 차 이후에는 브라인 쉬림프로 사육합니다.

 

'열대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브라 다니오의 사육과 번식  (0) 2025.04.27

제브라 다니오(Zebra Danio)란?

제브라 다니오는 민물에 사는 담수열대어로 몸통의 줄무늬가 얼룩말(Zebra)과 흡사해 붙여진 이름입니다. 성격이 온순하고 수질에 대한 내성이 강한 편으로 초보자도 사육이 쉬워 관상용으로 대중적인 열대어입니다. 제브라는 테트라류로 대표되는 카라신과 열대어와 크기와 생김새가 비슷해 보이지만 잉어과 열대어로 카라신과와 다르게 이빨을 가지지 않는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대표적인 잉어과 소형어로 수마트라, 라스보라, 바브, 백운산 등이 있습니다.

유영중인 제브라 다니오

서식지 인도, 네팔, 방글라데시 등 동남아 일대의 강과 시내
크기 3-4cm
수명 2-5년
색상 은색 바탕에 푸른색 줄무늬가 특징, 골든타입도 존재
성격 빠르고 활발하며 무리지어 다니는 특성이 있어 5마리 이상 함께 사육하는 것을 추천

 

사육조건

 

수온

22-28도. 25-26도 정도를 유지하면 무리없이 사육이 가능합니다. 제브라는 생명력이 강한 편으로 수온이 다소 낮은 20도에서도 사육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적정 수온 이상 온도가 높아지는 것은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30도 이상의 높은 온도는 피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수온이 높아지는 여름철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PH

6.5-7.5. 약산성-중성 정도의 수질을 선호합니다.

먹이

건사료, 냉동사료, 브라인 쉬림프 등 어떤 종류의 사료라도 잘 적응하며 먹이반응이 좋습니다.

특징

수류가 있는 환경을 좋아하며, 물밖으로 튀어 오르는 경향이 있으므로 수조의 뚜껑을 준비하거나 물높이가 너무 높지 않도록 조절합니다.

질병

걸리기 쉬운 질병으로 오디니움병, 에로모나스, 콜룸나리스 감염증 등이 있습니다. 제브라는 다른 어종에 비해 질병이 잦은 편은 아니지만 여름철 수온이 높을 때 에로모나스 감염을 경험한 적이 있습니다. 여름철과 같이 수온이 평소보다 높아지는 시기에는 수조의 개체 밀도를 낮춰 수질변화가 급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질병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오디니움 몸과 지느러미에 얇은 막이 관찰되며 바닥이나 구조물에 몸을 비비거나 가라앉음
에로모나스 눈이 돌출되거나 복수가 차 배가 팽창, 피부에 궤양 또는 출혈이 나타남
콜룸나리스 초기에는 입주변과 지느러미가 하얗게 부식되며 몸이 뿌옇게 탁해짐
말기에 가까워지면 수면 위에서 헐떡이는 증상

 

번식

 

보통 부화후 3개월 이상이 지나 개체의 크기가 2.5-3cm 이상이 되면 번식이 가능합니다. 쾌적한 환경에서 충분한 먹이 공급이 이뤄졌다면 개체가 성숙함에 따라 암컷, 수컷의 신체적 차이가 도드라지기 시작합니다. 수컷의 경우 머리부터 배라인이 슬림하며 몸통의 색이 암컷보다 진한 편입니다. 암컷은 전체적인 몸통이 수컷에 비해 크고 통통하며 산란기가 다가와 알이 차기 시작하면 배부분이 둥글게 부풀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산란의 징후를 보이는 암컷을 수컷 개체가 따라다니기 시작한다면 산란이 임박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쌍으로 짝을 지어 번식을 유도하기보다는 여러 마리의 무리 속에서 자연스럽게 짝을 맺는 것을 선호하므로 산란수조에 여러 마리의 성체를 함께 넣어 산란을 유도하도록 합니다.

 

산란기의 수조 온도는 26-28도로 유지하며 신체리듬을 유지하기 위하여 12시간은 밝게 12시간은 어둡도록 규칙적인 조명 주기를 만들어 줍니다. 자연에서는 보통 동이 틀 무렵의 이른 아침에 산란이 이뤄지므로 인공조명으로 산란 리듬을 유도해 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너무 밝은 조명은 피합니다.) 일정한 리듬이 유지되지 않으면 산란 주기가 불규칙해지거나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산란된 알은 다른 개체들의 공격을 받거나 먹이가 될 가능성이 높아 번식을 위해서는 별도의 수조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별도의 산란어항을 마련했더라도 알이 눈에 띄기 쉬우면 부모개체의 먹이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수조에 별도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그물망을 설치해 부모개체가 바닥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분리하거나 바닥재, 수초 등의 구조물을 설치해 알에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산란이 완료되면 성어개체는 이동시켜 알과 분리합니다.

 

수조의 온도가 적절하게 유지되고 알이 부패하지 않도록 산소가 알맞게 공급되면 알은 2-3일 이후 부화하며 이후 치어용 먹이와 브라인 쉬림프로 사육합니다.

 

합사

제브라는 성격이 온순하고 공격성이 낮아 다른 열대어와의 합사가 무난한 편입니다. 

BEST  네온테트라, 라스보라, 플래티, 구피, 코리도라스, 몰리 등 크기가 비슷하고 온순한 어종
WORST 베타, 시클리드 등 공격성이 강한 어종

 

'열대어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타의 사육과 번식  (0) 2025.04.30

+ Recent posts